SNS정보 함께 공유해요
홈
태그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동영상] 아기, 어떻게 낳을까
이상훈 고양
2012. 6. 26. 12:25
[아기, 어떻게 낳을까] ① 잃어버린 선택의 자유, 자연주의 출산
건강을 위해 현미밥을 챙겨먹고 채식위주의 청정식단이 인기고, 수술 없는 디스크 치료가 유행하는 시대이다. 몸을 위해서라면 약도 칼도 함부로 몸에 대지 않는 시대. 그런데 대한민국 산모들은 출산당일이 되면 당연한 듯 병원침대에 몸을..
[문화]
[아기, 어떻게 낳을까] ② 환자가 된 산모의 굴욕
출산은 새 생명 탄생의 경이로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산을 앞둔 대부분의 산모들은 그보다 産苦에 대한 두려움으로 불안에 떤다. 그래서 산모 스스로 의료 개입을 원하거나 혹은 의사 권고로 필요 없는 약물에 의지하거나 더러는 ..
[문화]
[아기, 어떻게 낳을까] ③ 대한민국 99%는 병원출산자? 다른 선택은?
사실 우리 어머니, 그 어머니의 어머니들의 출산은 지극히 자연스런 일이었다. 결혼을 했으니 출산은 그야말로 당연한 통과의례였다. 그것도 집에서 자연출산을 했다. 물론 제왕절개 없이 병원 출산을 한 젊은 산모들도 한 마디씩 거든다..
[문화]
[아기, 어떻게 낳을까] ④ 출산 방법이 산모와 아기 건강을 좌우한다
인간이 겪는 진통 중에서 출산 진통은 세 번째로 손꼽힐 만큼 고통스럽다. 그렇다면 産苦는 도저히 견디기 어려운 진통일까?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은 한 마디로 '아니다'다. 진통은 아픔뿐만이 아니라 자연 마취제인 베타엔..
[문화]
[아기, 어떻게 낳을까] ⑤ 태교만큼 중요한 출산방법
태어난 지 6개월 된 아기가 상체를 뒤로 젖혀 떨어지는 행동을 반복한다. 7살 된 아이는 자신이 태어날 때 누군가 칼을 들고 엄마의 배를 째고 자신을 꺼냈다고 무서워한다. 즉 아이가 자신이 제왕절개로 태어났을 당시를 기억하는 것인..
[문화]
[아기, 어떻게 낳을까] ⑥ 산모, 당신의 선택
그렇다면 병원 출산은 필요 없다는 뜻인가? 아니다. 그렇지 않다. 95%의 산모가 의료 개입 없는 자연출산이 가능하니 산전 관리에서 위험군으로 분리된 5% 산모들은 당연히 병원에서 의술 도움을 받아 아기를 낳아야 한다. 나머지 ..
[문화]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SNS정보 함께 공유해요
티스토리툴바